농수산물유통공사는 우리 농식품의 수출확대를 모색하기 위한 수출진흥사업을 주력하는 국민기업인데요,
이번에 식재료 수출여건에 대한 조사결과 자료를 내놓았습니다.
농수산물유통공사가 이번에 조사한 국가는 미국, 중국, 일본, 베트남, 인도네시아이구요.
주로 식재료 유통 및 수출여건 조사결과 자료입니다.
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홈페이지에 보니. 다른 자료도 물론 많이 있더군요
자료 문의처 : 농수산물유통공사 식품수출정보팀(6300-1393
< 요 약 >
주요국 식재료 유통 및 수출여건 조사 결과
Ⅰ |
미 국 |
1. 현지진출 한국기업의 대형급식소
○ 삼성어스틴반도체(소재지 : 텍사스 어스틴)
- 직원수 2,120명(한국 파견 120, 현지 채용 2,000), 잡곡밥, 감자탕, 삼계탕 등 제공
- 구입희망 품목 및 가격 : 고춧가루 $4.20/1lbs, 굴비 $20.00/1박스 등
○ Wicked Fashions Inc.(현지한국기업, 소재지 : 뉴저지 포트리)
- 직원수 250명, 한식 70%, 양식 30%, 나물류, 고춧가루, 고추장, 된장 등 취급
2. 현지기업 운영 대형급식소(학교기숙사)
○ Bayridge University Residence & Cultural Center
- 한식에 관심이 많은 급식담당 매니저(Kelly)가 한식 재료 구매 희망
- 배, 고춧가루, 된장, 김치, 만두피, 해초무침, 당면 등 취급
3. 주요 식재료 유통업체
○ Sysco(본사 : 텍사스)
- 미국 최대 식재료 유통업체, 시장점유율 28%,
- 주요 납품처 : 학교, 병원, 호텔, 군대 등( * 참기름, 김밥용 김 등 취급)
○ Ichiban Food Service. Inc
- 뉴저지 및 맨하탄 일대 한식당 대상 식재료 공급중
- 라면, 국수, 냉면, 김, 미역, 다시마 등 취급
4. 한식당 : 우촌, 큰집, 수라, 와와칸틴
○ 맨하탄 위치 한인 운영 식당, 곤드래나물, 시래기 등 나물류 주로 사용
5. 한국산 식재료의 현지시장 진출방안
○ 현지 식재료시장 전문 현지 브로커 적극 이용, 요리책․레서피 보급 등
6. 한국산 식재료 구입희망 업체현황
업 체 명 |
품 목 명 |
전 화 번 호 |
삼성어스틴반도체 ※ 삼성에버랜드 |
조기, 굴비, 고춧가루
|
1-512-672-1077 ※한국 : 031-288-5046 |
Ichiban Food |
김, 게맛살 |
1-201-507-9900 |
Sysco |
수산물 |
1-281-584-1279 |
Ⅱ |
일 본 |
1. 대형급식소 현황
□ 일본의 벤더 리스트 : DB용 엑셀자료 참조(업소용 도매업자)
□ 일본의 대형급식소 리스트 : DB용 엑셀자료 참조
□ 일본급식서비스협회
◦ 회원사 : 286개(관동 95, 관서 67, 서일본 54, 중부 39, 북일본 31)
- 관서급식(주), 일본제너널푸드, 제일식품, 중앙푸드서비스, 메이한식품 등
□ 일본메디컬급식협회
◦ 주요 사업 : 단체급식, 케이터링, 헬스케어사업 등
◦ 주요 회원사 : 우오쿠니소우본사, 니치베이쿡그, 무라카미급식, 니치단 등
2. 식재료 가격(사례)
◦ 바지락 : 160엔/150g(중국산), 가지풋콩 : 200엔/500g(중국산) 등
3. 주요 외식업체 현황
□ 마르쉐(주)(소재지 : 오사카)
◦ 영업망 : 점포수 716개, 주요 취급품목 : 삼계탕, 전통주 등
◦ 엽채류 등 신선농산물은 자체 조달중이나, 기타 품목은 한국산 대체 가능
□ 료쇼쿠(RyoshoKu Ltd)(소재지 : 오사카)
◦ 주요사업 : 가공식품 도매업
◦ 취급품목 : 통조림, 조미료, 면류, 건어물, 기호품, 음료, 과자, 주류 등
□ 토탈프로시스템(주)(소재지 : 후쿠오카)
◦ 주요사업 및 영업점포수: 외식체인, 108점포
◦ 최근 한국산 식자재 사용 관심이 높아 한국산 대체 가능
4. 수출확대 가능 식재료 현황
◦ 냉동김치크로켓(croquette) : 최근 병원 및 회사, 학교 급식용 신규메뉴 수요발생
◦ 냉동수산물(튀김용) : 최근 학교 등 급식용 대량수요 많음
◦ 냉동과일(딸기, 포도) : 최근 학교급식 등 디저트용 수요 증가
◦ 냉동커트야채(파프리카) : 최근 바이어가 외식업소용 한국산 냉동절단 파프리카 요구
◦ 냉동나물류 : 최근 한식 붐의 영향으로 한국산 냉동 나물류 수요 증가
◦ 냉동지짐이 : 한국 식문화 확산으로 지짐이 수요 증가
◦ 냉동호떡 : 이자카야 외식체인의 디저트용으로 시장진출 가능
◦ 쌈장 : 불고기 문화 연계, 최근 쌈장 소비문화 확산 추세
Ⅲ |
중 국 |
1. 대형 급식소 현황
◦ 급식소별 리스트 : DB용 엑셀자료 참조 (업체명, 담당자, 연락처 등)
◦ 현지 구내식당 단가 : 10元(약 2,000원), * 한식재료 사용에 부담감
◦ 주요 메뉴 : 김치류, 무침류, 볶음류, 찌개류, 밥
◦ 한국산 식재료 : 고추장, 된장, 간장, 다시다, 카레 등
2. 식재료 유통업체 현황
◦ 업체별 리스트 : DB용 엑셀자료 참조(업체명, 업태, 연락처 등)
- 대부분, 가격 등 문제로 한국산 식재료 사용 비고려
3. 주요업체
□ Sodexo(北京索迪斯餐饮管理有限公司, 소재지 : 北京市 朝阳区)
◦ 주요사업 : 케이터링 서비스
◦ 조직 : 영업지점 전국 34곳(홍콩 포함), 구내식당 560개소 운영
◦ 주요 거래업체 : 노키아, 폭스바겐, P&G, GM, 포드, 캐논 등
※ 프랑스계 케이터링 서비스 세계 1위 기업
□ 상하이 푸른원(上海福伦園餐飮有限公司, 소재지 : 상하이)
◦ 주요사업 : 단체급식, 식당운영
◦ 지역사업본부 : 상해, 남경, 산동 등 6개 지역
◦ 현지 주요 거래기업 : 삼성중공업, 한국타이어, LG, 만도기계, 금호타이어, 오리온 등
◦ 한국산 구입희망 품목 : 갈치, 오징어, 고등어 등
4. 한국산 식재료 진출여건 및 전망
◦ 현재 가격 및 공급 등 문제로 한국산 식재료 미사용이나, 가격 및 공급문제 해결시 한국산 이용의견 다수
◦ 한․중 양국간 검역협정 등의 사유로 대부분 농축산물 수입 불가
- 단, 장류, 양념류, 버섯류 및 가공식품은 가능
⇨ 최근 한식당 증가, 한국기업 구내식당의 한식메뉴 증가로 향후 식재료 수요 증가 전망
⇨ 대형급식소, 한식당 등 수요처 및 바이어 발굴, 식재료의 물류비 지원 등 정부의 측면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식재료시장 성장가능
Ⅳ |
인도네시아 |
1. 현지진출 한국 대형급식소 및 식재료 현황
○ Korindo그룹, 삼성, LG 등 737개(비등록 기업 포함시 1,000개)
○ 주요 메뉴 : 육류, 생선구이 및 조림(현지산 갈치, 우럭, 병어 등), 김치류
○ 식재료 사용비중 : 현지산 90%, 수입산 10%
- 수산물 : 김, 북어 등 건어물, 고등어, 꽁치 등(현지 비생산품, 수입산 사용)
멸치, 조기 등(현지산 사용)
- 가공식품 : 장류 및 면류(100% 한국산 사용), 식용유, 참기름 등(한국산 50%, 현지산 50%)
○ 주요 조달품목 및 규격, 단가 등
품 목 명 |
규격(gr.ml) |
박스당 수량 |
unit |
가격(루피아) |
GOCUJANG TYC GOLD |
200 |
40 |
CUP |
19,000 |
DENJANG JERESIK |
500 |
20 |
CUP |
24,000 |
SAMJANG YANGYEM |
450 |
12 |
CUP |
42,500 |
GUN SOGEM |
500 |
30 |
PACK |
10,000 |
○ 한국산 식재료 이용여부 및 이용 의향
- 대부분 한국산 식재료 사용중이며, 가격․공급문제 해결시 한국산 이용 희망
2. 한국산 공급 및 이용 관련 문제점, 애로사항
○ 문제점 : 가격 및 유통기한․신선도 유지, 다양성 부족
○ 애로사항 : 수입허가(ML : Makanan Luar) 절차 복잡 및 장기 소요
4. 식재료 수입관련 규정
○ 일반적 검역 절차 필요 : 신선 농림축산물
○ 현지 식약청 수입허가 필요 : 가공식품
○ 식품라벨링 : 유효기간, 성분, 수입허가(ML) 등록번호 등 인도네시아어 표기
5. 한국산 식재료 수요 전망
○ 현지의 외식 및 식품가공산업의 성장, 한국업체의 투자 증가, 교민수 증가, 한식당 신규오픈 및 한국음식 수요층 확대 등 한국산 식재료 소비 증가 예상
1. 주요 케이터링 업체현황
◦ 한국 투자기업 대상 식당 수탁운영 업체
- Life Bridge Vietnam(소재지 : 호치민시, 100% 한국 투자회사)
․호치민시 인근 한국기업 식당 위탁운영
․현지 한국식품 전문점을 통해 구입
- Green Foods(소재지 : 호치민시, 한국인 운영회사)
․어류 및 채소 등은 현지 유통업체, 고춧가루 등 건조식품은 한국에서 수입
◦ 외국인 투자회사 대상 케이터링 업체
- P. Dussmann Vietnam(소재지 : 호치민시, 독일 투자회사)
․병원, 학교, 유치원, 오피스빌딩 및 슈퍼마켓 대상 케이터링 서비스 운영
* 세계적 케이터링 업체 Dussmann Group의 현지투자기업임
․현지산 식재료 사용 및 수입산 취급 없음
- Aden Services(소재지 : 호치민, 프랑스 투자회사)
․공장, 오피스빌딩, 아파트, 호텔, 병원 등 대상 급식서비스
2. 식자재 유통업체 및 식당 체인점 현황
◦ Saigon Co-OP Distribution Co(소재지 : 호치민시, 국영기업)
- 한국산 관심품목 : 가공식품, 과자류 및 음료
◦ Maximark Supermarket - An Phong Joint Stock Co(소재지 : 호치민시)
- 한국산 관심품목 : 신선식품 및 가공식품
◦ HaproMart - Hanoi Trade Corp(소재지 : 하노이)
- 한국산 관심품목 : 냉동 통닭
3. 현지진출 한국식당 체인점
◦ Vietnam LOTTERIA, CJ Bakery, BBQ Vietnam 등
4. 한국 식재료 수출여건
◦ 베트남내 대형 한국인 커뮤니티 규모(총 10만명) 및 베트남인 기호에 적합한 전통식품 보유
◦ 타국산 대비 낮은 가격경쟁력 및 브랜드 이미지 등
5. 한국 식재료 진출방안
◦ 식품 전문전시회 참여 및 현지 투자진출 한국기업과의 연계강화 등
'유용한 정보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추석선물로 연인에게 오랄비전통치솔을~ (0) | 2010.09.04 |
---|---|
농수산물유통공사 한식 이벤트 (0) | 2010.08.16 |
돌솥비빔밥의 모든것 (0) | 2010.06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