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자료는 농수산물유통공사 한식세계화팀에서 받은 내용입니다.
그동안 한식세계화에 대해서 많은 노력을 해왔는데 정보조사도
깔끔하게 해줬군요.
농수산물유통공사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.
한식관련 해외시장 조사결과 요약
|
|
한식당 해외 진출현황(미국, 중국, 베트남) |
□ 한식당 수 : 미국 1,628개, 중국 2,032개, 베트남 206개
(기 조사 자료에 의하면 일본의 한식당은 약 4,000개)
○ 미국 내 한식당은 한국계 교포 및 유학생 밀집지역인 캘리포니아 677개, 뉴욕 193개, 뉴저지 101개, 일리노이 80개, 조지아 68개에 집중 분포
○ 중국 내 한식당은 동부 81.3%, 중부 10.9%, 서부 7.8%로 상대적으로경제가 발전하고 대도시가 분포한 동부에 집중
○ 베트남은 호치민 109개, 하노이 63개로 두 도시에 대부분 분포
□ 한식당 유형
○ 미국, 중국, 베트남 모두 전문 한식당의 비중이 낮고, 다양한 메뉴를 제공하는 중가대의 일반 한식당 유형이 50% 이상으로, 한국계 고객이 많은 해외 한식당의 특성을 보여줌
- 미국의 경우, 일반 한식당이 58%, 전문 한식당이 29%로 중가 대의 식당이 대부분이며 전문 한식당 비중이 타 국가에 비해 높음 - 중국의 경우, 중가대 일반 한식당이 90%이며, 고급 한식당이 약 5%, 전문 한식당이 3% 차지 - 베트남의 경우, 일반 한식당은 59%, 전문 한식당은 18%, 고급 한식당 11% 비중
|
※ 한식당 유형은 크게 가격대와 메뉴의 다양성을 기준으로 고급 한정식당, 고급 한식당, 전문 한식당, 일반 한식당, 패스트푸드 한식당, 간이 한식당 등 6가지 유형으로 구분
□ 메뉴는 갈비, 불고기 및 삼겹살 등 고기구이가 50%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, 백반 및 비빔밥, 탕/찌게류가 각 10%~20% 비중
○ 미국은 고기구이 및 찜 비중이 58%로 미국인의 많은 수가 한식당을 바비큐 식당으로 인식, 일식․중식과 결합된 메뉴인 12%, 분식 9% 비중
○ 중국은 고기구이 70%, 기타 고기류가 7%로 대부분이 고기를 제공하는 식당, 이외에 탕/찌게 백반과 비빔밥 전문 식당이 각 7%
○ 베트남은 고기구이가 약 38%로 타 국가의 고기구이 비중보다 낮은 반면, 생선류가 16%, 탕/찌게 백반 11%로 높은 편
□ 한식당 업주 : 한국인 또는 한국계 이민자가 높은 비중을 차지
○ 미국 : 한인교포 75%, 한국인 21%, 미국인 4%로 대부분이 한국계 경영
○ 중국 : 한국인 66%, 조선족 20%, 중국인 14%로 조선족과 중국인의 경영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나, 조선족 운영 한식당은 대부분 영세
○ 베트남 : 한국인 85%, 베트남인 15%인며, 베트남인 업주는 대부분 프랜차이즈 식당을 운영
□ 한식당 운영형태는 국가 별로 상이하며, 미국은 대부분 개인 운영 형태, 중국은 개인이 2~3개 이상의 한식당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고, 베트남은 법인의 비중이 타 국가 대비 높음
○ 미 국 : 개인운영이 97%로 대부분, 소규모 프랜차이즈가 약 2%
○ 중 국 : 개인(본점)식당과 분점 식당이 각각 45%, 48% 차지하여 전체의 90%이상, 분점을 통한 사업 확장이 활발
○ 베트남 : 개인식당이 77%, 법인 직영14%, 프랜차이즈 9%로 규모가 큰 개인식당의경우 법인으로 등록해 영업하는 경우가 많아 법인사업자의 비율이 높은 편
□ 한식당 영업기간
○ 미국의 경우 한식당의 영업기간 10년 이상 식당이 34%로 중국과 베트남 대비 한식당 영업기간이 길며, 중국과 베트남은 5년 미만 한식당이 대다수
구분 |
5년미만 |
5년~10년 미만 |
10년 이상 |
미국 |
36% |
30% |
34% |
중국 |
62% |
30% |
8% |
베트남 |
72% |
|
|
* 베트남의 경우, 2년 미만도 36%로 최근 한식당이 급증
□ 한식조리인력 : 대부분 자격증 미소지, 교육 경험 없음
○ 미국 내 한식당의 조리인력은 한국인 43%, 한인 교포 51%로 한국계가 대부분이며, 18%만이 한식 자격 소지
○ 중국 내 한식당의 조리인력은 한국인 28%, 중국인 38%, 조선족 34%이며, 90% 이상이 조리 자격증 미소지
○ 베트남 내 한식당의 조리인력은 한국인 53%, 베트남인 47%로 비슷, 약 70%는 조리 자격증 미소지
□ 고객비중 : 한국인 또는 한국계 고객 비중이 50%이상
○ 미 국 : 한식당 고객의 한국계 비중 50%이상의 식당이 61%, 한국계 고객 90%이상의 한식당은 21%
○ 중 국 : 한식당 고객의 한국인 비중 50% 이상이 63%, 70% 이상 6%
○ 베트남 : 한식당 고객의 한국인 비중 50% 이상인 한식당이 전체의 81%로 대부분의 한식당 고객이 한국인
|
|
해외 외식시장 환경 및 한식 선호도 |
□ 세계경제침체로 외식시장의 성장세는 둔화되었으나, 에스닉 푸드 및 건강식에 대한 관심 증가, 한류의 영향 등으로 한식에 대한 관심 증대
○ 미 국 : 고가와 저가 음식점으로 양극화의 경향, 독특한 외식 경험과 음식의 전문성을 추구하며 간편한 식사를 선호
○ 중 국 : 개인보다는 단체 위주의 외식, 외식산업의 현대화 및 브랜드화, 고급식당의 성장
○ 일 본 : 간단하고 편리한 서비스, 다양성 및 小食 추구, 다양한 국가 음식의 융복합화
○ 베트남 : 일상적인 외식이 잦은 문화, 서구식 식생활 유입 등 외식환경 개선, 한류로 인한 한국음식에 대한 관심 증대
□ 타 에스닉 식당 대비, 미국과 베트남에서는 한국계를 위한 중고가 식당으로, 일본과 중국에서는 대중적인 캐쥬얼 식당으로 포지셔닝
○ 미 국 : 한국계와 소수 동양계로 고객 제한, 중고가의 가격이 형성
○ 중 국 : 고객층은 다양, 저가 이미지, 비슷한 메뉴를 제공하는 식당
○ 일 본 : 고객층이 다양한 중저가의 대중적인 캐쥬얼 식당
○ 베트남 : 한국인 위주의 고가 특정고객층 식당
□ 중국, 일본, 베트남 등 아시아권에서는 한식에 대한 선호가 뚜렷하게 높은 수준으로 한식 세계화의 잠재력을 가진 반면, 미국에서는 선호가 낮음
○ 미국은 한식에 대한 현지인 선호도는 타 에스닉 푸드 대비 낮은 수준
- 메뉴의 현지화 부족, 식당위생 불신 및 어수선한 분위기와 타 에스닉푸드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 기인
○ 중국에서 한식은 에스닉 푸드 중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며 일본, 이탈리아, 태국, 프랑스식 등이 뒤를 이음
- 한국 드라마, 영화의 영향으로 한식에 대한 높은 관심, 김치 등 대표 한식의 건강식 이미지와 타 에스닉 푸드 대비 저렴한 가격
○ 일본에서는 이탈리아, 중국식에 이어 3위로 타 에스닉 푸드 대비 상대적으로 낮지 않은 선호도
- 한류의 영향 및 한국 방문객 증가로 인해 한식 이해도 증대
- 고기구이 요리만으로 대표되는 한식 메뉴로 다양성 부족
○ 베트남: 에스닉 푸드 중 한식은 중식 다음으로 높은 선호도
- 한류 영향으로 인한 한국 음식에 대한 높은 관심
- 삼겹살 등 한국의 독특한 요리 문화에 대한 관심과 삼계탕 등의 보양식 이미지, 서양식 대비 건강식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 태도
|
|
식재료 유통현황 및 개선방안 |
□ 미국, 중국, 일본, 베트남 한식당 모두 고추장, 된장 등 장류와 젓갈류 및 불고기 소스 등 양념류는 한국산 비중이 50%이상 (외국산 양념류는 대부분 중국산 또는 일본산), 주재료는 한국산 사용 비중 낮음
○ 미국 한식당의 경우, 양념의 약 50%, 주재료의 약 3% 한국산 사용
- 주재료 중 육류 1%, 곡류 약 1%, 채소류 5%만이 한국산
○ 중국 한식당의 경우, 양념의 약 70%, 주재료의 약 10% 한국산 사용 - 주재료 중 육류 1%, 곡류 1%, 채소류 16%만이 한국산
○ 일본 한식당의 경우, 양념의 약 50%, 주재료의 약 10% 한국산
※ 일본의 경우, 식재료 비중은 인터뷰를 활용한 정성적인 분석으로 도출
○ 베트남 한식당의 경우, 양념의 약 72% 한국산 사용, 주재료는 한국산 거의 사용하지 않음
- 주재료 중 육류 1%, 곡류 1%, 채소류 1%, 어패류 5% 한국산
□ 한식당들은 한국산 구매 시는 한국마트 또는 한국계 유통업체를 주로 이용, 현지산은 현지의 식재료 유통회사를 통하거나 대형마트 이용
□ 대상국 전체적으로 공급 안정성 취약, Customization의 부족, 가격 등의 신뢰도 부족이 한식재료 공급상의 주요 이슈
○ 제한적인 규모의 경제 및 공급업체 영세성으로 인해 공급 안정성 취약
○ 한식 조리를 위한 한식 특화된 재료의 가공, 공급 미흡
○ 복잡한 유통체계로 인해 가격 측면 및 식품 안전성 측면 신뢰 부족
○ 한식 고유양념 등에서도 중국산 및 일본산의 시장 확대
○ 미국, 중국, 일본은 베트남 대비 한국산 사용에 있어 상대적으로 식재료를 공급 받기 수월한 편이나, 베트남의 경우, 물량이 적어 한국산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
□ 개선을 위해서 Market Place의 제공, Central Kitchen의 설립 및 SCM 구축 등 국가별 특성에 고려하여 효율적인 개선방안 마련이 선택 필요
○ Online Market Place의 설립 및 운영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통한 공급 안정성 및 복잡한 유통구조를 단순화 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
○ Central Kitchen 설립을 통해 한식 특화된 식재료 공급, 한식당의 인건비 절감 및 시장 특성에 맞는 식재료 개발 공급
○ 중장기적으로 국내 식재료 생산, 수입 등 총 공급과 국내외 식재료 수요를 예측 및 조정할 수 있는 글로벌 SCM 시스템 마련 필요
- 한식 세계화가 진전될수록 해외에서의 한식재료의 수요가 늘어나 글로벌 SCM의 구축 필요성 증대
□ 한식재료 수출 활성화를 위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언(액센츄어 제시)
○ 상품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 식재료 가공기업들은 시장에 대한 분석 및 연구를 통해 새로운 상품과 포장 디자인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음.
○ 정부는 한국산 식품의 안전성 및 한식재료의 우수성을 증명할 수 있는 연구개발이 필요
○ 식재료의 위생 및 안전성 유지는 필수적인 사안이며, 한 번의 안전 관련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한국산 식재료 전체의 이미지를 훼손하므로 적극적인 관리 필요하므로 정부는 향후 한식 세계화와 더불어 증가할 수출용 가공재료 및 신선재료 제조/유통업체의 안전성 관리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여야 함
|
|
해외진출 유망한식 메뉴개발 |
□ 개발목적
○ 해외 소비자가 거부감 없이 쉽게 접할 수 있는 현지화 된 한식메뉴를 개발․보급함으로써 한식 수요고객 확대
○ 해외 한식당 경영주 등이 활용 또는 응용 가능한 레시피 정보 제공
- 현지인 입맛, 식재료, 객단가, 조리시간 등에 대한 분석을 반영
□ 추진내용 : 국가별로 현지화 한 유망한식 개발
○ 대상국가 : 미국, 중국, 일본, 베트남 / 국가별 5개 메뉴
□ 개발절차
① 외식산업의 트렌드, 현지 소비자 선호도, 전문가 인터뷰 (현지 경영주, 고객 FGI 포함)
② 국가별 유망한식 메뉴 후보 안 도출 및 평가
- 현지 식재료 조달 용이성, 조리 편의성, 조리시간, 단가 등 고려
③ 국가별 메뉴안 압축 및 국내 주한 외국인 대상 테스트 실시
④ 현지 마켓 테스트 실시(미국, 250명, 중국 358명, 일본 155명, 베트남 207명) 및 경영주, 조리사를 대상으로 의견수렴
□ 유망한식 선정 및 현지화 된 레시피 개발 : 국가별 5개
미 국 |
중 국 |
일 본 |
베트남 |
○ 레시피는 동영상, 이미지 자료로 제작, 해외 소비자 및 현지 한식당에서 조리 및 조리사 교육에 활용토록 자료 제공
|
|
한식당 마케팅 전략 |
□ 미국은 외식시장 트렌드와 Target으로 도출한 고소득 청장년층, 중산 및 저소득 장년층, 고소득 및 중산 중년층의 외식패턴을 고려할 때, 고급 한정식 식당, 전문 한식당 및 패스트푸드 한식당 유형의 진출이 유망
※ 소득수준과 Life Stage를 축으로 구분한 고객군의 외식빈도, 외식지출액, 에스닉 푸드 선호 및 향후 성장 잠재력을 고려, 국가 별 Target 고객군 도출
○ 한식 브랜드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Flagship 형태의 최고급 한정식 식당은 한식세계화를 위한 마케팅 비용의 일환으로 정부의 적극적 지원 필요
- 고소득 청장년층과 고소득 중년층 비즈니스 및 이벤트 외식 Target
○ 전문 한식당은 미국인의 간편한 일상식 선호 및 식당 전문성 선호에 맞춰 비빔밥·죽 등 특정 메뉴를 중심으로 한 중가대의 전문 식당으로 포지셔닝
- 모든 Target 고객의 일상식 및 친구모임
○ 패스트푸드 식당은 푸드코트에 입지 또는 Take-out을 위주로 한식의 대중화
- 고소득 청장년층과 중산 및 저소득 장년층의 일상식 Target
□ 중국은 외식시장 트렌드와 한식당 Target 고객 외식상황을 고려할 때, 고급 한식당과 일반 한식당 유형의 진출이 유망
○ 고급 한식당은 고소득층을 타겟으로 한식의 다양한 요리와 함께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대규모 고급 식당으로 포지셔닝
○ 일반 한식당은 중산층의 가족 외식 등을 Target으로 북경·상해의 상업지구와 주거지역에 입점하여 다양한 한식 메뉴를 푸짐하게 제공
□ 일본은 고급 한식당과 간이 한식당 유형으로 접근
○ 일본 고급 한식당은40~50대 중산층 이상의 가족 외식 고객 비즈니스 회식 고객을 Target으로 뷔페식 또는 다양한 메뉴를 소량으로 제공하는 세트형식의 메뉴 구성 필요
○ 간이 한식당은 직장인의 간편한 끼니 해결 및 노년층의 일상식으로 Target하여, 배달 서비스를 통해 경쟁업소와 차별화
□ 베트남은 일반 한식당과 간이 한식당 유형으로의 접근이 가장 유망
○ 베트남 일반 한식당은 중산층의 가족 외식이나 고소득 청년층의 친구모임을 Target으로 하노이·호치민의 신 주거개발지역 또는 중심 상업지구에 입점
○ 간이 한식당은 대형마트 내 푸드코트에 입지, 다양한 종류의 분식메뉴 제공
<한식세계화 지역 확장 전략>
□ 한식세계화 Hub Strategy
○ 한식세계화 Target 지역을 선정하고, 지역 내 Hub역할을 할 국가 또는 도시를 선정, 한식세계화 마케팅 역량을 집중함으로써 한식세계화의 효율적인 확대를 도모하고 Risk를 최소화
□ 지역 선정 기준
○ 지리적으로 근접하며 문화적 동질성을 지닌 국가들을 그룹화 하여 선정
- 동아시아, 동남아시아, 북미, 남미, 동유럽, 서유럽, 오세아니아, 중동 / 북아프리카, 남아프리카
□ Hub 선정 : 시장성, 진입 용이성, 지역 내 확장성의 기준으로 선정된 지역 내 Hub 선정
○ 시장성(규모 및 성장성)
- Hub 국가는 주변지역에 비해 큰 외식산업 규모를 가지고 있고, 짧은 기간 내에 한식 세계화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지역
- 기존 외식산업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, 건강식 또는 Ethnic Food 의 수요가 증가하는 지역
○ 진입 용이성
- 타 문화에 대한 openness : 새로운 문화에 대해 호기심이 많은 지역으로 초기 진입 시 환영 받을 수 있는 지역
- 정책적 규제 : 현지의 국적에 상관없이 현지인과 동등한 입장에서 한식당을 자유롭게 오픈할 수 있는 지역
○ Area 내 확장성
- Hub 국가의 문화적 영향력 : 주변 국가에 문화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어, 한식 세계화를 직·간접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지역
- 지리적 위치 : 주변 국가들에 비해 식자재 유통 및 입지 선정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
□ Target 지역 선정 및 Hub선정
○ Strategic Importance, Feasibility로 분류, 각각의 기준을 세워 Area 선정
- Strategic Importance
․시장성 : 시장 규모, 성장 가능성
․확장용이성 : 국가의 문화적 영향력, 타국으로의 확장을 위한 지리적 위치
○ Feasibility
- 문화적 수용성 : 타 문화에 대한 개방성, 한국문화 영향력 수준
- 초기 진입 용이성 : 교포 및 유학생 사회 형성 수준, 정책 및 규제적 제한, 한국/한류문화 전파 정도
○ 1st Phase 지역: 전력적 우선 순위에 따라, 북미, 동아시아 및 동남아 지역
- 북 미 : 미국(뉴욕, LA)
․세계 최대 규모의 외식 시장으로 복합적인 식생활 문화가 형성되어 있음
․문화적인 영향력이 크며 대규모 교포 사회가 형성되어 있음
- 동아시아 : 일본(도쿄, 오사카), 중국(베이징, 상하이)
․외식산업규모 5위인 일본과 최근 외식산업이 급성장하는 중국의 영향으로 비교적 큰 외식시장을 가지고 있음
․한류의 영향으로 한국문화에 대한 인지도가 비교적 높음
․중국과 일본에 비교적 큰 한인사회가 형성되어 있음
- 동남아 : 베티남(하노이, 호치민)
․경제성장과 더불어 시장규모가 성장 중임
․한류의 영향력이 커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큰 상황
○ 2nd Phase 지역: 서유럽, 동유럽, 오세아니아, 중동 및 북아프리카
- 서유럽 : 영국(런던), 프랑스(파리)
․유럽의 외식산업은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큰 규모이며 이 중 서유럽이 많은 비중을 차지
․이탈리아와 프랑스 등 음식문화가 발달 되어 있는 국가가 다수 존재
- 동유럽 : 러시아(모스코바)
․EU 동방 확대에 따라 현저한 경제성장을 이루었으며, 이에 따라 외식산업 규모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기대
․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므로Ethnic Food 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
- 오세아니아 : 호주(시드니)
․다민족·다문화를 지향하므로 타 문화에 대한 개방성이 높음
․오세아니아 지역의 인구 구성 중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Ethnic Food 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
- 중동 및 북아프리카 : 아랍에미리트(두바이)
․두바이를 비롯한 걸프지역 국가들이 2012년까지 연간 1,500만 명의 관광객을 불러들인다는 목표로 관광산업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어 한식을 널리 알릴 수 있음
․주요 소비계층인 중산층이 두터운 편이라 성장 잠재력이 풍부함
․점진적 자유화와 서방국가 제품의 시장침투 확대로 외국문화의 이해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
|
|
정책제언 (액센츄어) |
□ 한식세계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해외에서 한식 및 한식당에 대한 인식과 위상의 강화를 위한 홍보가 필요하고, 한식당이 사업성 있는 식당으로 보편화되기 위한 한식 및 한식당의 유형화/표준화가 필요
○ 정부는 한식에 대한 Brand 개발 및 홍보, 시장에 대한 연구 분석, 한식 R&D, 한식당 유형 기준 마련 및 시장 별 한식당 추천 안 제공, 레시피, 한식당 네트워킹 지원, 현지 조리 교육기관 지원 등을 추진
○ 외식 기업은 한식당 사업모델 개발, 메뉴 개발, 사업 Brand化, 운영 Manual 마련, 한식당 업주 및 직원 교육체계 마련, 식자재 상품 및 Brand 개발 등을 추진
○ 기존 해외 한식당은 Target 고객 명확화 및 고객군 확대, 메뉴 개발, 서비스 개선, 지역 내 한식당 네트워킹 등 추진이 필요
□ 정부의 역할 : 공익적이고 민간 수행이 어려운 부분을 중점 수행
○ 전략수립, 정보 조사, 인력양성, 한식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형성 등은 정부에서 지원하고, 레시피 특성화, 개별 브랜드 홍보, 고객 개선사항 반영 등의 수행은 개별 기업에서 담당
- 비전 및 전략, 사업 운영 전략, Infra 및 Support의 세 부분으로 도출
※ Value Chain 상에서 한식세계화를 위한 정부 역할(예시)
□ 한식세계화 단계별 관리지표
○ 한식세계화는 단계적으로 접근하여야 하며, 각 단계별 목적과 정부 및 기업․사업자가 수행하여야 할 과제, 관리 지표와 목표 또한 상이
- 1단계는 양적 성장 단계로 해외 한식당의 수를 늘리고, 지역적 Coverage를 확대하여 외국인 고객과 한식의 Contact 가능성 및 횟수를 높여감
- 2단계는 활성화 단계로 한식당을 다양화하고, 전통한식의 맛과 문화와의 연계를 심화하여, 한식당의 고객층을 확대하고 마니아를 양산
- 3단계는 내재화 단계로 한식을 일상식화 할 수 있도록 한식 주재료 및 양념, 중간 가공품 등의 유통을 활성화하고, 외국인 한식당 사업자와 조리사를 확대
① 양적 성장 단계
○ 한식의 양적 성장 단계에서는 한식당의 수와 Coverage를 늘려가는 것이 목표이며, 관리하여야 할 지표는 한식당 수, 한식당 이용 고객 수임
<한식당의 양적 증가 지표>
- 한식당 수 및 증가율
- 한식당 매출액 및 인증제 참여 식당 수
- 한식당의 지역별 분포
<한식 고객 증가 지표>
- 한국계를 제외한 한식당 고객 비중
- 한식당 테이블 회전율
② 활성화 단계
○ 한식이 일정 수준 이상 전파된 후, 2단계인 한식 활성화 단계에서는 한식 및 한식당이 다양화되고, 고객층이 두터워지도록 하여야 하며, 이를 위해 한식당 매출액, 한식당 만족도, 한식 인지도, 한식당 이용 고객 수, 고객 중 현지인 비중 등의 지표를 관리
<한식당의 활성화지표>
- 종류별/형태별 한식당 개수 및 매출액
- 한식당 객단가
- 수출 식재료 종류 및 금액
- 한식당 유형 별 한식 메뉴 종류 및 단가
<한식당 이용 고객 층의 확대 지표>
- 한식당 방문 고객층의 다양성 및 수 (국적/연령/소득)
- 한식당 테이블 회전율
③ 내재화 단계
○ 한식의 고객층이 확대되고, 다양한 한식당이 활성화 된 이후, 한식 세계화 3단계인 한식의 내재화 단계에서는 현지화/일상화를 위해 식재료 수출액 및 종류, 한식 요리사수 등의 지표를 관리하여야 함
<한식당의 현지화지표>
- 한식당 업주 중 외국인 숫자 및 비율
- 한식당 외 한식 취급점 수
- 한식 전문 조리사 중 외국인 숫자 및 비율
- 한식 교육기관 또는 교육과정 수
<한식당의 일상식화 지표>
- 한식당 방문 고객 수 및 현지인 비중
- 한식당 방문 고객층의 다양성 (연령/소득/인종)
- 한식 관련 강좌/출판물 수
- 유통 한식 재료 종류 및 수
- 수출 식재료 종류 및 금액
- 한식 재료 취급 점포 수 및 식재료 가격
'유용한 정보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김밥 스토리텔링 (0) | 2010.06.24 |
---|---|
농수산물유통공사-미수다 브로딘이 말하는 한식세계화 (0) | 2009.11.25 |
2009연말정산 총정리(최신버젼) (0) | 2009.02.04 |